자유여행

성베드로성당

피터킴^ 2011. 6. 16. 15:30

   성 베드로 대성당은  326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의해서  베드로의

                      무덤위에  세워진  바실리카식  성당으로  1506년  교황  율리우스2세에

                      의해 개축이 시작되어  마침내 1626년   120년만에  교황 우르반8세때

                      성 베드로 성당으로 완공되었다고 하며  당시 최고의 건축가인 라파엘로,

                      베르레,  상갈로, 미켈란젤로가  참가했다고  한다.

 

ㄱ베드로성당4.JPG

                             성 베드로 성당의 돔 기둥이 보인다.   옆의  지구모형은   바티칸의

                             유일한 현대조형물로  1990년  이태리 월드컵  기념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ㄱ베드로광장5.JPG

                                지구모형을  크게 찍어 보았다. 아르날드 포모도르의  작품

 

 

 

ㄱ베드로성당24.JPG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성 베드로 성당의  돔 지붕

 

 

 

ㄱ베드로성당5.JPG

                             사람에 떠밀리면서  겨우  성당  안으로  들어갔다.   우리가  갔을때

                             바티칸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시복식이 있었던  다음날이라  바티칸이

                             복잡하기로  이루  말할수가  없었다.

 

 

ㄱ베드로성당6.JPG

                          화려한  성당  내부의  천장화와  벽화들이다.

 

 

ㄱ베드로성당7.JPG

 

 

 

ㄱ베드로성당8.JPG

 

 

 

ㄱ베드로성당9.JPG

 

 

 

ㄱ베드로성당10.JPG

 

 

 

ㄱ베드로성당11.JPG

 

 

 

ㄱ베드로성당12.JPG

 

 

 

ㄱ베드로성당  안.JPG

                             성당 가장 안쪽에 있는  이곳이  베드로의  옥좌라고  했던것  같다.

                             여기에 안치된  베드로의 유해가 진품이라는것이  1940 년에 확인되었다고

                         한다.

 

 

ㄱ베드로성당14.JPG

 

 

 

ㄱ베드로성당15.JPG

 

 

 

ㄱ베드로성당16.JPG

 

 

 

ㄱ베드로성당17.JPG

                            성당이  크고 넓고  사람이  많아서  어디가  어딘지  도저히  분간할수가

                            없다.

                            그 유명한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상을  찾아 다니다가  못 찾고  말았다.

                            미켈란젤로의 3대 조각품중의  하나인  피에타상은   마리아가  십자가에서

                            내린  예수님을 안고 있는  조각품으로   유일하게  미켈란젤로의  이름이

                            새겨진  조각이라는데   찾을수가  없다.

 

 

ㄱ베드로성당18.JPG

 

 

 

ㄱ베드로성당19.JPG

 

 

 

ㄱ베드로성당20.JPG

 

 

 

ㄱ베드로성당21.JPG

                            가이드는  우리를  성당안으로  밀어넣고  20분인가  후에  광장  오벨리스크앞

                            으로  모이라고  했는데  시간은  바쁘고  성당안이라  뛰어 다닐수도  없고

                            이태리어라고는  한마디도  몰라  물을수도  없고  결국은  피에타상을  못본채

                            성당밖으로  나오고  말았다.

 

ㄱ베드로박물관22.JPG

                            베드로 성당의  성년의 문

                        16편의 성경이야기가  부조로 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50년 주기로

                        성년이 되는 해에 1년 동안  열린다고 하며  오직  교황만이 이 문을

                        여닫을 수  있다고 한다.

 

ㄱ베드로광장9.JPG

                             성당밖  성 베드로 광장

                         저 오벨리스크는 40년  칼라굴라 황제가 이집트에서 가져 온

                         높이 25,5미터,  무게 320톤으로   처음에는  황제가  네로경기장을

                         장식한것이었는데  1586년  교황  식스토5세가  이리로  옯겼다고함.

 

 

ㄱ베드로광장7.JPG

                            로마시내  곳곳에,  그리고  여기  베드로 광장에  교황  요한 바오로2세의

                            사진이   걸려 있다.   지금  바티칸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시복식을

                            보러 온  세계각국의  카톨릭신자들로  부척  붐빈다.

 

 

ㄱ베드로광장8.JPG

                              성 베드로 광장의 건물위로도   유명한  로마의 소나무 들이 보인다.

 

 

ㄱ베드로광장12.JPG

                          저 건물밑  어디쯤일까?    성 베드로 대성당과  이어진  시스티나예배당

                      천장에  유명한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와   최후의 심판이  있었다.

                          그곳은  절대로  사진찰영이 금지며  감시가  심해서  그냥  앉아서 하염없이

                          쳐다보기만  했는데  보는데도   고개가  너무  아팠다.

                          미켈란젤로는  어떻게  천장에  매달려  그렇게  크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렸을까?   미켈란젤로는  무슨 힘으로  대체  저렇게  천장에  매달려 오랜

                          세월동안  그림을  그렸을까?

 

 

 

ㄱ베드로광장3.JPG

                             성당안에서  나오다  만난  바티칸의  보초

                             이들은  스위스 용병으로  미켈란젤로가  디자인 한  옷을  아직도

                         입고 있다고 한다.

 

 

ㄱ베드로성당3.JPG

                            바티칸  박물관과  성당으로  들어가는   입구다.

 

                           성 베드로 성당

                           아름답고  웅장한  성당이지만  16세기초  증축비용 마련을  위해 교황 

                           레오10세가  면죄부를  발행하였고,  그로  인하여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을

                           하게하는  동기가 되었던  곳,  카톨릭 신자인 나는  이곳에서  많은

                           생각을  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지만  성전을  크게  화려하게  짓는다고

                           과연  하느님이  좋아하실런지......

                           그러나  이렇게  크고  화려하게  지음으로써  인류불멸의 예술품들을  탄생

                           시키기도 했으니  역사란  언제나  아이러니하다.